페트라 고대도시 역사:페트라의 기원과 번영, 건축·예술의 결정체, 유네스코 등재와 보존 노력
1. 나바테아 왕국의 수도, 페트라의 기원과 번영페트라(Petra)는 요르단 남부, 아라비아 사막의 변두리에 위치한 고대 도시로, 기원전 6세기경 아라비아계 유목민이었던 **나바테아인(Nabataeans)**이 정착하면서 형성된 도시입니다. ‘페트라’는 그리스어로 ‘바위’를 뜻하며, 이는 이 도시의 특성을 그대로 반영한 명칭입니다. 페트라는 거대한 사암 절벽을 깎아 만든 수많은 신전, 묘소, 궁전이 특징인 도시로, 도시 전체가 바위 속에 조각된 하나의 예술작품처럼 여겨집니다.페트라가 번영할 수 있었던 가장 큰 이유는 무역로의 중심지였기 때문입니다. 당시 인도, 아라비아, 지중해를 잇는 향료·향신료·비단 무역로가 페트라를 거쳐 지나갔고, 나바테아인들은 이러한 교역로를 통해 막대한 부를 축적하며 도시를 성장..
2025. 5. 20.
세계문화유산 보존 사례: 팔미라 유적, 베네치아, 라파누이의 모아이
1. 전쟁 속에서도 지켜낸 팔미라 유적 (시리아)시리아 중부에 위치한 **팔미라(Palmyra)**는 고대 로마와 페르시아, 그리고 이슬람 문화가 교차했던 중동의 대표적인 고대도시 유적으로, 1980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습니다. 그러나 2015년, 극단주의 무장단체(IS)의 점령으로 인해 수천 년을 버텨온 이 유산이 심각하게 훼손되었습니다. 벨신전, 바알샤민 신전, 개선문, 석관 등 수많은 건축물과 조각들이 파괴되었고, 현장에 있던 문화재 담당자조차 처형당하는 비극적인 사건도 발생하였습니다.이후 유네스코는 즉각 팔미라를 ‘위험에 처한 세계유산’으로 지정하고, 긴급 대응 계획을 수립하였습니다. 유럽연합과 ICOMOS, ICCROM 등과 협력하여 현장 복구를 위한 디지털 보존 자료 수집, 고고..
2025. 5. 18.